포스트

[크래프톤 정글 7주차] Proxy Lab

주간 요약

소켓 인터페이스 & ECHO 서버 & TINY 웹 서버 & 프록시 서버


키워드

  1. 이더넷
  2. 네트워크 계층 (OSI7 Layer, TCP/IP Layer)
  3. HTTP (요청/응답, 헤더, 메소드, 상태코드, HEAD 메소드)
  4. DNS
  5. 소켓 인터페이스 (socket, bind, listen, accept, connect, close)
  6. Datagram Socket vs Stream Socket
  7. BSD 소켓
  8.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
  9. CGI / WebServer / MIME Type
  10. Proxy
  11. 파일 디스크립터
  12. CS:APP 11장: 네트워크 프로그래밍


백준

  1. 리모컨
  2. 해킹
  3. 두 용액
  4. 빙산


만족

TINY를 통한 웹 서버 동작 과정 이해

프록시 서버를 통한 프록시 동작 과정 이해


아쉬움

1일 1백준을 하지 못하고 며칠은 잔디만 심었다

Echo를 통한 소켓 인터페이스 이해가 부족하다.


회고

JeongJongMun/proxy-lab: Proxy Lab from CMU (github.com)

이번 주는 소켓 인터페이스와 웹 서버의 동작 과정, 프록시 서버의 동작 과정에 대해 공부할 수 있었다.

소켓 인터페이스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지만, 추후에 다시 정리하며 공부해야겠다.

사실 이 WIL은 핀토스 프로젝트 3 진행 중에 쓰고 있다.

핀토스를 시작하고 나서 정말 정신없이 살고 있고, WIL을 제대로 못썼기에 지금이라도 쓰려고 한다..

프록시 랩 당시에 기억나는 건, 해당 과제가 무엇을 알려주려고 만들어졌는지를 모르고 과제를 수행했다.

ECHO 서버를 구현해봄으로써 소켓 인터페이스에 대해 이해하고,

TINY 웹 서버를 구현해봄으로써 웹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,

프록시 서버를 구현해봄으로써 프록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이 과제의 주 목적이었다.

하지만 당장 구현에 급급하였기에 이러한 점을 생각하지 않고 과제를 수행하였고, 과제가 끝나고 발제를 하는 중에 코치님이 하시는 말씀을 듣고 깨닫게 되었다.

왜 주차를 시작하기 전에 어떤 부분을 얻어가야 하는지 말씀해주지 않아 주셨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지만, 앞으로도 무언가를 공부할 때 자신 스스로 어떠한 것을 깨달아야 하는지 찾아야 하기에 말씀해주지 않으셨을까 라는 생각으로 바뀌었다.

이번 주의 팀은 인우형과 재원님이다.

인우형과 무려 5주간 같이하게 되었다 ㅋㅋ
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